공지사항

공지사항

영어 다음으로 문서 수가 많은 위키백과 언어는 뭘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AFvtJ738
작성일23-06-21 10:44 조회31회 댓글0건

본문


IMG_4366.png 영어 다음으로 문서 수가 많은 위키백과 언어는 뭘까?
위키백과.

모든 열람자가 내용을 만들고 수정할 수 있는 백과사전으로,

수백개의 언어판이 있다.

영어판, 프랑스어판, 중국어판, 일본어판같이 유명한 언어판은 당연히 있고

카탈루냐어판, 미낭카바우어판, 오크어판, 서프리슬란트어판 등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언어판도 있고,

광둥어판, 민남어판, 객가어판, 오어판 등 중국어의
방언판도 있으며,

케추아어판, 나바호어판, 이보어판, 쇼나어판 등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의 원주민 언어판도 있을 뿐만 아니라

체첸어판, 사미어판, 타타르어판, 위구르어판 등 소수민족 언어판도 있고

에스페란토판, 인테르링구아판, 로지반판같은 인공어판도 있고

라틴어판, 한문판, 산스크리트어판, 고대 교회 슬라브어판 등 현재는 학술이나 종교적 목적 외엔 사용되지 않는 언어판들 또한 왜 있는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있다.




이 수많은 언어 중에서 가장 많은 문서를 보유한건 당연하겠지만 667만개의 문서를 보유한 영어판 위키백과다.
(참고로 한국어판은 63만개 보유)


그렇다면 2위는 무슨 언어일까?

여러 추측이 있을것이다.

가장 화자가 많은 중국어일까?

아니면 영어 이전에 세계 공용어였던 프랑스어?

아니면 2번째로 화자가 많은 스페인어?

아니면 인터넷에는 씹덕들이 많으니까, 씹덕들의 라틴어인 일본어일수도 있지 않을까?





다 아니다.

그런 흔한 언어였다면 이 글을 쓰지도 않았을 것이다.



바로 세부를 비롯한 필리핀 님부에서 2000만명 정도가 사용하는 현지 언어인 세부아노어다.

IMG_4367.png 영어 다음으로 문서 수가 많은 위키백과 언어는 뭘까?
(세부아노어의 사용 지역)


세부아노어판 위키백과는 612만개의 문서를
보유해서,
3위인 독일어판보다 2배 이상 많은 문서수로 2위를 차지했다.
(독일어판 문서수 약 280만개)


그런데 세부아노어판 위키백과는 이상한 점이 하나
있다.

600만개가 넘는 문서들 중
90% 이상이 생물학 관련 문서거나 나라의
행정구역, 지역 이름에 관한 문서인 것.

어떻게 이렇게 된 것일까?





바로 때문이다.



IMG_4368.jpeg 영어 다음으로 문서 수가 많은 위키백과 언어는 뭘까?

2012년, 스웨덴의 물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스베르케르 요한손은 'Lsjbot' 이라는 위키백과 작성 봇을 만들어 스웨덴어판 위키백과와 세부아노어판 위키백과, 그리고 와라이어판 위키백과에서 가동시기기 시작한다.

(스웨덴어는 자기나라 말이니까 그렇다 쳐도 왜 세부아노어와 와라이어도 있냐면 아내가 세부아노어 화자라서 그렇고, 와라이어는 세부 동쪽 지역의 언어라서 그렇다고 한다.)

봇들은 생물과 행정구역에 관한 문서들을
매우 빠른 속도로 만들어가기 시작해,

2012년 9월에 문서수가 50만개였던 스웨덴어판 위키백과는
2013년 6월에 두배가 되어 100만개가 되었고,
2016년에는 380만개까지 늘어나게 되고,

2012년 12월에 문서수가 3만개였던 세부아노어판 위키백과는 
2013년에 6월에 무려 10배 이상 늘어 40만개가 되며,
현재는 600만개를 넘었으며,

와라이어판 위키백과도 순식간에 100만개에 달하는 문서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문서들은 어쨌든 정보를 전달하긴 하니 생물학이나 지리학에 지나치게 치우치게 된다는 단점을 제외하면 별 문제가 없어 보였다.

하지만 문제는 이후부터 시작된다.

위키라 하면 여러 사용자에 의해 계속 내용이 갱신되고 편집되어야 제 기능을 하는데, 봇이 만든 문서들이 너무나도 마이너한 내용들이라 접근성이 떨어져 오랫동안 편집이 되지 않고,

문서의 내용도 너무나도 짧았다.

생물학 문서의 경우 생물의 생물 분류와 간단한 설명이 끝이었고,

지리학 문서도 마찬가지로 해당 지역이나 시설의 위치, 국가, 간단한 설명과 기후가 전부였다.

다시 말해, 문서의 질이 너무 떨어졌고, 오래 방치되는
경우도 많았다.


때문에 이를 가만 보지 못한 스웨덴어판 위키백과
관리자들과 와라이어판 위키백과 관리자들은 봇의
문서 생성에 반대 의견을 내기 시작했고, 결국 스웨덴어판과 와라이어판에서 봇은 가동이 중단된다.

스웨덴어판은 한술 더 떠서 봇으로 만들어진 문서들 중 내용이 빈약하면서 오랫동안 편집되지 않은 문서들을 가차없이 삭제해 380만개에 달하던 문서 수가 256만개로 줄어들기까지 했다.


하지만 세부아노어판 위키백과는 문서 생성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긴 했지만 중단되지는 않았고, 2021년에 문서 수 600만개를 찍고 현재 612만개에 달해, 영어 다음으로 문서 수가 많은 위키백과 언어판이 된다.





그렇다면 요한손은 왜 이런 일을 벌였을까?

요한손은 언론과 인터뷰에서 “온라인에서 절대적 민주주의를 만들기 위해“ 라고 답했고, 위키백과 문서 편집자들의 상당수가 백인 남성들, 그 중에서도 위키백과에 상주하다시피 하는 괴짜들에 의해 작성되어져 편향적인 반면, 봇은 성별을 가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판단은 여러분의 몫.






+
여튼 지역에 관한 문서들을 수도없이 만들어낸 탓에,
한국 읍면동급 행정구역들은 거의 대부분 세부아노어나 스웨덴어로 작성되어 있고, 언덕이나 마을같이 행정구역이 아닌 지역들도 작성된 경우가 많다.

심지어 아래와 같이 한국 지역인데도 한국어판 문서가 없는 반면 세부아노어로만 작성된 경우가 있을 정도.

(언어 변경 버튼이 회색으로 되어 있는데, 다른 언어판으로 문서가 없다는 뜻)

IMG_4371.jpeg 영어 다음으로 문서 수가 많은 위키백과 언어는 뭘까?




자료 ㅊㅊ 



멀티핏 프리미엄 가격 - 멀티핏 프리미엄 가격

미즈케어 솔루션 가격 - 미즈케어 솔루션 가격

베라핏 가격 - 베라핏 가격

리피어라 가격 - 리피어라 가격

호관원 가격 - 호관원 가격

관절보궁 가격 - 관절보궁 가격

디제로킹 - 디제로킹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